(Spring) Restart Spring
스프링의 탄생
목차
스프링 이전
2000년대 자바 진영의 표준 기술 : EJB (Enterprise Java Beans)
Container 설정, Transaction 설정, 분산지원 등 고급기술들을 지원함.
이론은 훌륭하지만, 가격이 비싸고 무엇보다 사용하기에 굉장이 어렵고 복잡했다고 한다.
그에반해 EJB 가 제공하는 Entity Bean이라는 ORM기술은 수준이 굉장히 낮았다고한다.
그 결과 Spring과 하이버네이트가 개발됐다. 하이버네이트를 정제해서 표준으로 만든 현재의 JPA가 됐다.
Spring의 탄생
J2EE Design and Development
- 2002년 로드 존슨 책 출간
- EJB의 문제점 지적
- EJB 없이도 충분히 고품질의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, 30,000라인 이상의 기반 기술을 예제 코드로 선보임
- 여기에 지금의 스프링 핵심 개념과 기반 코드가 들어가 있음
- BeanFactory, ApplicationContext, POJO, 제어의 역전, 의존관계주입
- 책이 유명해지고, 개발자들이 책의 예제코드를 프로젝트에 사용
- 책 출간 직후 Juergen Hoeller(유겐 휠러), Yann Caroff(얀 카로프)가 로드 존슨에게 오픈소스 프로젝트 제안
- 스프링의 핵심 코드의 상당수는 유겐 휠러가 지금도 개발
- 스프링 이름은 전동적인 J2EE(EJB)라는 겨울을 넘어 새로운 시작(봄)이라는 뜻으로 지음
스프링이란?
스프링 프레임워크
- 핵심기술: 스프링DI 컨테이너, AOP, 이벤트, 기타
- 웹기술: 스프링 MVC, 스프링 WebFlux
- 데이터 접근 기술: 트랜잭션, JDBC, ORM 지원, XML 지원
- 기술통합: 캐시, 이메일, 원격접근, 스케줄링
- 테스트: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
- 언어: 코틀린, 그루비
-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를 통해서 스프링 프레임 워크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
스프링 부트
-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, 최근에는 기본으로 사용
-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생성
- Tomcat 같은 웹서버를 내장해서 별도의 웹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
-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종속성 제공
- 스프링과 3rd parth(외부) 라이브러리 자동 구성
- 메트릭, 상태확인, 외부 구성 같은 프로덕션 준비 기능 제공
- 관례에 의한 간결한 설정
핵심개념
이 기술을 왜 만들었는가?
이 기술의 핵심 컨셉은?
- 스프링은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 워크
- 자바 언어의 가장 큰 특징 -객체 지향 언어
- 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
- 스프링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
그렇다면 좋은 객체 지향이란?
- 출처: 인프런 - 스프링 핵심원리 -기본편(김영한)